기타 [여성핫라인]-[가정폭력에 대한 오해와 진실]
페이지 정보
본문
김성경 KAN-WIN 젠더 폭력 상담가,
게렛 신학교 목회 상담학 석사, 게렛 신학교 목회신학 박사과정
(상담 문의: 24시간 핫라인773-583-0880)
[가정폭력에 대한 오해와 진실]
2022-2024년에 걸쳐KAN-WIN은 조지아 대학과 함께 시카고 지역의 아시안인을 대상으로 가정폭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 했습니다. 약 600명이 참가한 이 설문조사는 한인 뿐만 아니라 여러 아시아인 공동체의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된 점은 가정폭력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 변화였습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 중 가장 고무적인 것은 97%의 응답자가 가정 내 폭력은 어떠한 경우에도 용납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폭력적인 관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90%를 넘었고, 75% 이상의 응답자가 가정폭력에 대해 말했을 때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이 결과는 얼핏 당연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과거에는 가정폭력의 원인을 피해자에게 돌리거나 타인의 가정사에는 관여하지 않는 것이 당연시되었던 점을 생각하면 미국내 한인 및 아시안 공동체에서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한 것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가정폭력 상담을 하는 제 입장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답변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약 50%의 응답자가 가정폭력 피해자를 정서적으로 심약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 그중 하나입니다. 제가 만난 많은 가정폭력 피해자는 매우 책임감이 강하고 남편과 자녀에게 헌신적인 분들이었습니다. 자녀들의 미래를 위해 자신이 선택한 가정을 지키려 묵묵히 하루하루를 견뎌내고 계신 분들이 많았습니다. 물론 너무 오랜 시간 정서적 폭력에 노출되어 우울감을 겪거나 어떻게 폭력 상황에서 벗어날 지 해결책을 찾기 어려워하는 분들도 계셨지만, 이는 장기간 폭력에 노출된 결과이지 그분들이 본래 약해서가 아니라는 점을 이해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번째로 주목할 점은 가정폭력 피해자가 원하기만 하면 피해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약 70%에 달했다는 설문 결과입니다.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폭력적인 관계를 정리하고 안전한 독립을 하려고 할 때, 떠나면 신체적 위해를 가하겠다는 언어 협박을 하거나, 혹은 총기를 포함한 흉기를 휘두르는 등의 직접적인 위협을 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해자가 아이들이나 애완동물에게 해를 끼치겠다고 위협하는 경우도 봅니다. 가해자가 자해를 하겠다고 하거나 아이를 만나지 못하게 하겠다고 협박을 하기도 하고, 심지어 혹은 몰래 찍은 음란 동영상을 보여 주며 인터넷에 올리겠다는 위협을 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정폭력 상황을 탈피하지 못하는 다른 이유로는 경제적인 문제를 빼 놓을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가정폭력인 재산권의 통제를 동반하기 때문에, 많은 피해자는 가정의 경제적 자원에 전혀 접근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해자를 떠난 후 경제적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을 세우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지요. 뿐만 아니라, 제가 만난 많은 가정폭력 피해자는 영주권이나 시민권이 없는 분들이었고, 원가족이 한국에 있어 미국 내에서 부모나 친척의 도움을 받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이분들은 가해자를 떠나는 즉시 아이들과 함께 거주할 곳이 없거나 싱글맘으로 취업과 육아를 동시에 시작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쉘터에서 아이들과 장기간 거주할 수는 없는 일이고, 어린 자녀들을 데리고 아파트를 구하고 동시에 취업과 양육을 하겠다고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설문 결과는, 가정폭력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돌아가려고 할 때 그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19%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선한 의도와는 다르게,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없는 한 피해자의 선택을 존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가정폭력의 피해자인 그들은 자신이 처한 환경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고, 어떤 결정이 안전한 결정인지도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친구로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상담가로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잘 경청하고, 상황을 이해하고, 안전 계획을 함께 세우는 일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일을 자신의 통제 하에 결정하고 진행하는 것을 돕는 것이야 말로, 그 동안 가해자의 통제 하에서 자율적 의사결정권을 침해 받았던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최선의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 이전글노란우체통- 우리 삶 속에 겨울도 넣어 두고.. 24.10.23
- 다음글[Jay’s EDU]366 - 2024 대학입시 시즌이 시작되었습니다 19 - “Harvard 대학 교수가 에세이나 EC가 입시에서 제일 중요하다는데요?” - 입시에서 Extracurricular Activity가 중요한 경우 24.10.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