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노숙자촌 철거 논란, 지역사회 갈등 심화
페이지 정보
본문
곰퍼스 공원 내 노숙자촌 강제 철거, 인권단체 반발
시정부 "주거 지원 프로그램 진행 중… 강제 퇴거는 아냐"
지역 주민, 안전 문제 우려 속 철거 지지 목소리도 높아
[사진출처: Fox 뉴스 캡처]
시카고 곰퍼스 공원(Gompers Park) 내 노숙자촌 철거가 진행되면서 지역사회 내 찬반 논쟁이 격화되고 있다. 일부 시민단체는 이를 "노숙의 범죄화(criminalization of homelessness)"라며 규탄했고, 이에 맞서 공원 복원을 지지하는 단체는 노숙자 지원을 위한 조치라고 반박했다.
39구역 알더우먼 사만다 누전트(Samantha Nugent) 사무실 앞에서는 철거에 반대하는 시위가 열렸다. 반대 측은 시정부가 진행한 빠른 이동 추진(Accelerated Moving Event, AME)이 충분한 안전 조치를 갖추지 못했으며, 철거된 이들이 극심한 추위 속에서 더욱 위험한 상황에 처했다고 주장했다.
이번 AME는 곰퍼스 공원에서 장기간 거주하던 노숙자들이 주거 시설로 이동할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시 당국은 해당 프로그램이 100% 참여율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실제 주거 지원 절차가 완료되기까지 최대 90일이 소요될 수 있어, 노숙자들이 임시 거처 없이 떠밀려났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한편, 일부 주민들은 노숙자촌 철거를 환영하며, 공원의 안전 문제를 이유로 철거가 불가피했다고 주장했다. 곰퍼스 공원 복원 연합(Restore Gompers Park Coalition)은 성명을 통해 "이번 철거는 노숙자들에게 주거와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부이며, 극단적인 주장을 펼치는 일부 시위대가 혼란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단체는 "노숙자촌이 공원 내 약물 사용, 화재, 목줄 없는 개의 공격 등의 문제를 초래해 지역사회에 위협이 되어왔다"며, 공원을 이용하는 어린이들과 주민들의 안전이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숙자 인권단체들은 시정부가 보다 인도적이고 안전한 방식으로 노숙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으며, 앞으로 추가 시위를 예고했다.
시 당국은 "현재까지 공원 내 거주자들에게 강제 퇴거를 명령한 적은 없으며, 이들의 주거 지원 절차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활동가들은 시의 조치가 결국 노숙자들을 거리로 내몰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이번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시정부와 지역사회 간 갈등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주목된다.
[CMS 기자]
- 이전글시카고 오헤어 공항 2터미널 인근서 총격 사건 발생 25.03.12
- 다음글미시간호 해안 유독성 폐기물 처리장 확장 계획 철회 25.03.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