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미국 내 5,000억 달러 규모 AI 인프라 구축 발표
페이지 정보
본문
트럼프 “관세 없었다면 불가능”…
제조업 부흥 전략에 ‘트럼프 효과’ 강조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통해 무역장벽 구축과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글로벌 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가 미국 내에서 5,000억 달러 규모의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대규모 계획을 발표했다.
엔비디아는 14일(월) 공식 성명을 통해 “TSMC, 폭스콘, 위스트론, 앰코, SPIL 등 글로벌 제조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향후 4년 내로 미국 전역에 AI 슈퍼컴퓨터를 포함한 AI 인프라 생산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처음으로 전적으로 미국 내에서 AI 슈퍼컴퓨터를 생산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자국 내 생산 기조 및 강경한 관세 정책과 맞물려 이뤄진 것으로 평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조만간 반도체를 포함한 주요 품목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지난달 파이낸셜타임즈(FT)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내 생산 기반 확대는 불가피한 방향”이라고 언급했고, 이번 발표를 통해 해당 계획이 공식화된 셈이다.
엔비디아는 특히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위치한 TSMC 공장에서 차세대 AI 반도체인 ‘블랙웰(Blackwell) 칩’ 생산을 시작했으며, ▲텍사스주 휴스턴과 댈러스에 슈퍼컴퓨터 생산 공장을 신설 중이라고 전했다. 이들 공장은 약 12~15개월 내 대량 생산에 돌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블랙웰 칩은 엔비디아의 AI 슈퍼컴퓨터 설계와 생산의 핵심 기반이 되는 차세대 반도체로, 이번 생산 개시는 미국 내 AI 공급망이 본격 가동되기 시작했음을 상징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백악관은 즉각 이를 ‘트럼프 효과(Trump Effect)’라고 홍보하며 관세 정책의 성과로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것은 11월 5일 선거 덕분이며, 사랑과 하나님 다음으로 가장 아름다운 단어인 ‘관세(tariff)’ 덕분”이라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이어 “이러한 성과는 미국에 대한 진정한 믿음의 결과”라며 “젠슨 황 CEO와 프로젝트에 참여한 모든 사람에게 감사를 전한다. 관세가 없었다면 이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 이전글연방,여름 여행 더 저렴하게! ‘캐나다 스트롱 패스’ 출시… 국내 관광 활력 기대 25.04.14
- 다음글일리노이 첫 ‘DMV+’ 오로라에 개소 25.04.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