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CPI 연 인플레 2.8%… 4개월 만에 하락세 전환 > 로컬 뉴스

본문 바로가기

로컬 뉴스

2월 CPI 연 인플레 2.8%… 4개월 만에 하락세 전환

페이지 정보

본문

전체 월간 상승률 0.2%

연준,기준금리 다시 인하할 가능성 커져...

12일(수)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연 인플레이션이 2.8%를 기록하며 1월의 3.0%에서 하락했다.

CPI 인플레이션은 지난해 9월 2.4%까지 떨어진 뒤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며 10월 2.6%, 11월 2.7%, 12월 2.9%, 올해 1월 3.0%로 올랐었다. 그러나 2월 들어 4개월 만에 다시 하락세로 접어든 것이다. 지난해 9월 기록한 2.4%는 2021년 2월 이후 최저치였으며, 이후 인플레이션이 급등해 2022년 6월에는 9.1%까지 치솟았었다.

특히,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 연 인플레이션은 3.1%를 기록하며 전월의 3.3%에서 크게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7월과 8월 기록된 3.2%를 밑도는 수치로, 47개월 전인 2021년 3월(2.9%) 이후 최저치다.

2월 소비자물가는 전월 대비 0.2% 상승하며 1월의 0.5%보다 상승 폭이 줄었다. 연 인플레이션은 월간 변동률을 12개월 누적하여 전년 동월과 비교해 산출된다.

세부적으로 보면, 주거비는 0.3% 올랐지만 항공 요금이 4.0% 급락하고 가솔린 가격이 1.0% 하락하면서 전체 월간 상승률이 0.2%에 그쳤다. 근원 CPI 월간 상승률도 0.2%로 전월(0.4%)보다 둔화됐다. 에너지 부문은 연 0.2% 하락했으며, 식품 가격은 2.6% 상승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해까지 11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8차례 동결해오다가, 지난해 9월 첫 금리 인하를 단행했으며 11월과 12월에도 추가 인하를 단행했다. 그러나 올해 1월에는 금리를 동결하며 현재 연방기금 금리 목표 범위를 4.25%~4.50%로 유지하고 있다.

이번 2월 CPI 지표에서 인플레이션 둔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연준이 이달 하반기에 있을 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다시 인하할 가능성이 커졌다.

한편, 1월 20일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전쟁을 촉발하면서, 이전 조 바이든 정부의 ‘경기침체 없이 인플레이션을 잡는 연착륙’ 기조가 흔들릴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하고 경기침체가 닥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으나, 2월 CPI 지표는 이러한 우려를 다소 완화하는 결과를 보였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2월 기준으로 중국에만 10% 추가 관세가 부과되었고, 캐나다·멕시코·유럽연합(EU)에 대한 조치는 유예된 상태로 아직 본격적으로 시행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향후 인플레이션 추이가 다시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Login

회원가입
이번호 신문보기 더보기

시카고교차로소개 | 미디어 킷 | 광고문의 | 신문보기 | 관리자에게
Copyright (C) KOREAN MEDIA GROUP All right reserved.
HEAD OFFICE: 3520 Milwaukee Ave. Northbrook, IL 60062
TEL. (847)391-4112 | E-MAIL. kyocharo@joinchicago.com
전자신문 구독신청

Terms & Conditions | Privacy
Copyright © 2023 Kyocharo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or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팝업레이어 알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