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트럼프 대중 관세 압박에 ‘탈중국’ 카드 꺼낼까
페이지 정보
본문
Apple 유튜브 캡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초고율 관세(145%)가 부과되면서, 중국에 생산을 의존해온 애플의 공급망 전략에 변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애플은 현재 아이폰 생산량의 약 9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미국으로 일부 이전할 경우 약 300억 달러와 3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디자인은 캘리포니아, 생산은 전 세계"
애플은 과거 스티브 잡스 시절부터 해외 생산 외주화 전략을 고수해왔다. 오바마 전 대통령의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할 수 없느냐"는 질문에 잡스는 "일자리는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 일화도 유명하다.
이는 ▲ 대규모 노동 투입이 가능한 유연한 생산 환경, ▲ 숙련된 기술 인력, ▲ 부품 공급망 밀집도 등의 이유에서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에도 관세를 무기로 미국 내 제조업 복귀를 압박하고 있다. 실제로 일부 제품에 대해서는 관세 유예를 통해 ‘당근과 채찍’ 전략을 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과의 관계 역전, 트럼프의 강경 기조로 인해 애플이 일부 생산라인을 미국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커졌다.
애플은 현재 인도에서 15%의 생산량을 2027년까지 25%로 끌어올릴 계획이지만, 인력 숙련도, 공급망 생태계, 정부 규제 등에서 중국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인도 다음 유력 대안으로 브라질을 꼽고 있다.
애플은 자체 공장을 운영해본 적이 없으며, 생산은 대부분 폭스콘 등 협력사에 의존하고 있다. 이들 협력사가 중국·대만에 밀집해 있어 생산지 변경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앞서도 애플의 일부 제품에 관세 유예를 적용했지만 미국 내 공장 설립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전문가들은 "근본적 해결책인 생산지 이전은 시간과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고,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미비하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애플의 탈중국 시나리오는 여전히 신중히 검토되는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트럼프 정부의 추가 압박 또는 관세 유예 결정이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밴쿠버교차로
- 이전글오픈AI 창립 멤버들, 일론 머스크 지지... "비영리 원칙 저버렸다" 25.04.13
- 다음글LA 이사 온 여성, 10달러에 산 구찌 핸드백… 수천 달러 가치로 밝혀져 25.04.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