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셰프의 '매미 김치' 미국서 화제 > 로컬 뉴스

본문 바로가기

로컬 뉴스

한인 셰프의 '매미 김치' 미국서 화제

페이지 정보

본문

미국 내에서 곤충을 식재료로 사용하는 새로운 시도로 주목받고 있다며 매미를 식용 곤충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뉴욕타임스 보도화면 캡처 


221년만의 '매미겟돈'에 요리도 주목

살충제로 오염되지 않은 토양 안전해

 

뉴욕타임스(NYT)가 미국 내에서 곤충을 식재료로 활용하는 새로운 시도가 주목받고 있다며 매미를 식용 곤충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8일 소개했다.

그중 한국계 미국인인 조셉 윤 셰프가 개발한 ‘매미 김치’가 가장 먼저 소개됐다. 윤 씨는 매콤한 발효액에 매미를 통째로 넣어 절여 매미에 발효액이 천천히 스며들도록 한다. 이렇게 만든 매미김치는 따뜻한 밥과 부드러운 두부와 곁들여 먹을 수 있다. 또 볶은 매미, 감자, 양파를 넣은 스페인식 토르티야와 매미로 속을 채운 파스타로 구운 치즈 캐서롤도 선보였다. 윤 씨는 “매미는 랍스터나 새우와 같은 식재료”라고 말했다.

미주리 식물원의 곤충학자 태드 얀코스키는 버터·화이트 와인·마늘로 만든 소스에 매미를 사용한 파스타 요리를 즐긴다. 메뚜기, 개미 등 곤충을 이용해 요리하는 셰프 앤드류 잭은 매미를 갈아서 으깬 후 소금을 쳐 새우 페이스트처럼 발효시키는 새로운 레시피를 시도할 계획이다. 미국인들은 곤충을 먹는 것은 종종 부정적으로 여기지만 전 세계적으로 약 20억 명의 사람들이 곤충을 섭취한다고 NYT는 전했다. 매미는 단백질을 비롯해 지방과 탄수화물 등 다른 영양분도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어 영양학적으로도 훌륭한 식재료다. 과학자들은 매미가 화학 물질이나 살충제로 오염되지 않은 토양에서 나온 경우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조개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 매미 섭취를 주의하라고 알렸다.

한편, 미국에서는 올해 221년 만에 최대 규모의 매미 떼가 나타날 것으로 예고됐다. 중서부와 남동부 지역에 4월 하순부터 6주간 1조마리에 달하는 매미 떼가 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NYT는 전했다. 코네티컷대의 곤충학자 존 쿨리는 이를 매미와 아마겟돈을 합친 ‘매미겟돈’이라고 명명하며, 전체 개체 수가 수백조 마리에서 1000조 마리에 달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교차로

ad85e4bc3d16dffaf16d3105d069f35e_1715289721_76.p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Login

회원가입
이번호 신문보기 더보기

시카고교차로소개 | 미디어 킷 | 광고문의 | 신문보기 | 관리자에게
Copyright (C) KOREAN MEDIA GROUP All right reserved.
HEAD OFFICE: 3520 Milwaukee Ave. Northbrook, IL 60062
TEL. (847)391-4112 | E-MAIL. kyocharo@joinchicago.com
전자신문 구독신청

Terms & Conditions | Privacy
Copyright © 2023 Kyocharo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or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팝업레이어 알림